안녕하세요. 얼마전까지 아침 저녁으로 쌀쌀했는데 갑자기 어제부터 봄 날씨가 되었네요 ㅎㅎ😊
날이 좋아 기분이 좋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곧 더워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.
그렇다보니 곧 에어컨 리모컨에 손이 가는 분들 많으시겠죠?
그래서 오늘은 에어컨 청소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합니다 :)
❓왜 에어컨 청소가 꼭 필요할까?
한겨울 내내 쉬고 있던 에어컨 안에는 생각보다 많은 먼지와 곰팡이, 세균들이 쌓여 있어요.
이 상태에서 에어컨을 켜면?
- ✔️ 퀴퀴한 냄새 발생
- ✔️ 호흡기 질환 유발
- ✔️ 냉방 효율 저하 → 전기요금 ↑
특히 아이가 있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집이라면 에어컨 청소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!
🛠️ 셀프로 할 수 있는 에어컨 청소 방법 (스탠드형 & 벽걸이형 공통)
1. 전원 차단은 기본!
작업 전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주세요. 감전 사고 예방은 기본 중의 기본이에요.
2. 전면 커버 열기 & 필터 분리
에어컨 전면 커버를 살짝 들어 올리면 필터가 보이는데요.
보통 양쪽에 하나씩 필터가 장착되어 있어요. 이걸 조심스럽게 분리해 주세요.
3. 필터 세척
- 욕실에서 미지근한 물과 부드러운 솔을 사용해 먼지를 털어내세요.
- 기름때가 있다면 중성세제(예: 주방세제) 를 희석해서 사용하면 좋아요.
- 완전히 마를 때까지 그늘진 곳에 자연건조 시키는 것이 포인트!
4. 냉각핀(열교환기) 청소
- 냉각핀은 알루미늄 핀으로 되어 있어 매우 예민해요.
- 시중에 판매하는 에어컨 냉각핀 전용 스프레이를 분사하면 먼지와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어요.
- 사용 후 30분 정도 자연건조 후 사용!
📌 Tip: 냉각핀에 물을 직접 붓는 건 절대 금물!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.
5. 송풍팬(임펠러) 청소
송풍팬은 내부 깊숙한 곳에 있어 청소가 어려운데요,
요즘은 송풍팬 전용 클리너+롱브러시 세트가 온라인에 많이 나와 있어요.
거울과 휴대폰 플래시를 이용해서 위치를 확인한 후, 브러시로 문질러 닦아주면 돼요.
🧽 청소 주기, 얼마나 자주 해야 할까?
- ✅ 필터 청소: 최소 2주~한 달에 한 번
- ✅ 냉각핀/송풍팬: 계절 사용 전후 1~2회
- ✅ 전체 분해 청소: 1~2년에 한 번 (업체 의뢰 권장)
💡 셀프 청소 꿀팁 요약
필터 | 물, 솔 | 완전 건조 필수 |
냉각핀 | 전용 스프레이 | 직접 물세척 금지 |
송풍팬 | 롱브러시, 클리너 | 손 다치지 않게 주의 |
🙋♀️ 셀프로 어려운 경우엔? 전문가의 손을 빌리자!
송풍팬 안쪽 곰팡이가 심하거나, 내부에 물 고임 증상이 있다면 전문 업체에 맡기는 것이 좋아요.
요즘은 1대 기준 약 5만 원~10만 원 선에서 청소가 가능하고, 1~2년마다 한 번씩 받는 걸 추천드려요.
마무리하며…
에어컨 청소는 단순한 '집안일'이 아니라, 가족 건강을 위한 필수 건강 관리라고 생각합니다.
여름을 시원하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, 이번 주말엔 에어컨 청소 한 번 해보시는 거 어떠세요?
전 저를 믿지 못하여 전문가에게 예약하였답니다 ㅎㅎ 😊
'일상생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📢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집 공고 요약 (1) | 2025.05.20 |
---|---|
🗳️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 및 공약 정리 (7) | 2025.05.12 |
[양평동 베이커리 카페] 크루통 - 진짜 빵 맛집 :) (9) | 2025.05.08 |
🔍 이재명 파기환송심 연기…대선 전 결론 어렵다? (12) | 2025.05.07 |
🔥열나는 우리 아이, 어떻게 해야 할까? (8) | 2025.05.07 |